시에 관한 단상과 산문과 시가 뒤섞인 비빔밥 같은 책이 등장했다! 


『시인의 잡담』은 1983년 제1회 문예중앙신인상으로 등단, 『헌정』을 비롯한 여덟 권의 시집과 산문집 『설렘』을 가지고 있는 중견 시인의 두 번째 산문집이다. 이 책은 아포리즘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저자는 산문집으로 호명한다. 아포리즘이 보여 주는 결정론적 판단을 사양하고자 저자는 굳이 산문집이라는 장르명을 선택했고, 산문의 한자어 산이 흩어졌다는 뜻을 가졌다는 의미에서 이 책의 중심과 더 호응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시에 관한 정신적 발열(發熱)을 응집했다는 점에서 너무 뜨겁거나 너무 차가운 책이다.
『시인의 잡담』은 기본적으로 ‘시에 관한 잡담’이다. 그리고 시인에 관한 잡담집이다. 시는 무엇인가가 아니라, 무엇이 시인가에 대한 잡담이다. 잡담의 뜻이 그러하듯이 시에 관해서 정색하지 않고 떠들어대는 너절하고 쓸데없는 헛소리가 이 책을 가로지르고 있는 본색이다. 자신의 블로그에 ‘한 줄의 페허’라는 제목으로 연재했던 조각글들을 책이라는 공예품으로 재가공했다. 짤막한 조각언어들이 책의 몸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기왕의 산문집과 비슷하지 않다. 그 점은 이 책의 특징적이고 논쟁적인 대목이다. 산문이지만 반 정도 산문이고 반은 산문을 배신하는 산문이다. 산문이면서 시적 호흡과 리듬을 유지하는 글이다. 정색하지 않고 시와 시의 근처를 대놓고 잡담하고 있는 것도 한 특징이다. 저자는 시를, 시만 겨냥하고 있다. 즉, 시가 독서의 중심에서 멀어진 현실 속에서, 그걸 잘 알면서, 그렇더라도, 시를 쓴다는 것의 의미를 통렬하게 숙고한다. 그리고 끊임없이 시를 재정의한다. 현실이라는 흔들리는 배 위에서 방향 없이 날아오르는 새를 겨냥하는 포수는 일정한 사냥 규칙을 신용하지 않는다. 정의되지 않는 것이 시라는 것의 속성이라는 전제 속에서 시적 결핍과 갈증을 끊임없이 현재화하려고 애쓰는 것이 이 책의 고달픈 프로세스다.
산문집이면서 책 속에 시인의 미발표 시가 수록되어 있음도 눈길을 끈다. 산문 속에 시가 있다기보다, 시와 잡담이 서로 조응하고 있다. 시집 속에서 시를 읽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울림을 만들어 내고 있음도 색다르다.
산문집 『시인의 잡담』은 결국, 주변부로 밀려난 시에 대한 뜨거운 향수이자, 망해 버린 시의 운명에 대한 재호명이다. 시는 망했지만 모른 척 하고 시를 쓸 수밖에 없는 증상을 가진 이들을 위한 동병상련의 민간요법을 담아낸 희귀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