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과 가족, 그리고 세상 사람들~
읽다 보면 모두가 주인공이 되고 조연이 되는 가족극장


이 장편소설은 프롤로그나 에필로그를 제외하면 세상 사람들의 삶을 한 편의 연극으로, 영화로 극장에서 보는 듯한 느낌이다. 극장과 영화관을 가져다 놓은 책이다. 읽다 보면 어느새 모두가 배우가 되어 있고, 여기도 엿보고 있고, 저기도 엿보고 있다. 또한 여기는 어떨까, 저기는 어떨까 하고 기웃기웃하게 된다. 이 책의 매력이다.
주인공인 ‘나’와 그 주변 인물들의 삶을 담고 있는 이 소설을 통해 “우리보다 약자라고 해서, 우리와 생김새가 다르다고 해서, 아직 사람의 형체를 갖추지 않은 작은 생명이라고 해서 함부로 다뤄지지 않는 세상이 오기를 꿈꾼다”며, 작가는 세상 사람들의 바람을 이야기하고 있다.


<달의 계곡> 작가 의도는 어떤 것이었을까?


이 책의 화자인 주인공은 어머니에게 젖도 떼기 전에 버림을 받았다.
동냥젖으로 생명을 이어가게 된 주인공은 어머니에 대한 증오심을 품으며 성장한다.
고모의 손에서 자란 주인공은 고모의 집에 세 들어 살고 있는 금자 언니가 아기를 잃게 되는 것을 보자, 어머니에 대해 다른 감정을 느낀다.
그러던 가운데 정신이 온전치 못한 상태에서도 배 안의 아이를 지키고자 하는 효순 언니의 모습에서 어머니라는 존재를 다시 느낀다.
결국 주인공인 어머니로 인해서 자신이 태어나게 되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이 소설의 시작은, 작가의 초등학교 2학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작가의 막내 여동생이 젖동냥으로 허기를 달랬던 적이 있다. 그 모습에서 생명의 강한 의지를 작가는 보게 된다. 힘차게 젖꼭지를 빨고 있는 막내 여동생의 이마에 불거진 푸른 정맥은 지금도 또렷하게 남아 있다고 한다.

그러던 중 작가는 지난 2007년 12월 7일 기름이 유출된 태안의 바다와 자주하게 된다. 그때의 참혹함은 잊을 수 없었다고 한다. 검은 기름을 흠뻑 뒤집어쓴 채 죽어가던 생명체들의 모습은 마치 낙태의 현장을 보는 것 같았다고 한다.

태어나는 아이들보다 낙태되는 생명이 더 많다고 한다.
태중에 있다는 것만으로 태아의 생명권이 함부로 다뤄지고 있다.
생명을 잉태할 수 있는 어머니라고 해서 그 생명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권한까지는 없다.
생명은 잉태되는 순간, 어머니와 분리된 하나의 개체이다.
그러므로 생명은 존중되어야 한다.

<달의 계곡>도 한때는 수많은 생명을 품고 있었던 바다였다고 한다.
풍화 침식이 진행되면서 협곡으로 변한 <달의 계곡>은 이제 생명을 품고 싶어도 품을 수 없는 협곡이 되어 버렸다.
그런 것처럼 생명을 잉태할 수 있는 것은 축복이다.
이 소설의 제목을 <달의 계곡>이라고 붙인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 나도 작가되어 한 줄 쓰기 ]


이 책에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한 행을 띄워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그 한 줄의 글을 써볼 수 있도록 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곳을 찾아 출판사 메일(mykorea001@hanmail.net)을 통해 쪽수와 한 줄의 글을 보내주시면, 정답을 맞추신 10분의 독자에게 작가와비평에서 발행한 책 중 원하시는 도서 한 권을 드립니다.


■책 속으로■


길바닥에 칵, 퉤 거리며 함부로 침 뱉지 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생명들이 가족들과 식사를 하거나
모여앉아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거나
단잠에 빠져 있거나
새 생명을 탄생시키고 있다.

길바닥에 칵, 퉤 거리며 함부로 침 뱉지 마라
우리보다 먼저 떠난 이들이 누워 있는 곳이다.
언젠가는 우리도 그곳에 누워 있다
―5쪽

딸아이는 ‘사랑’이라는 단어를 서슴없이 내뱉고 있다.
열일곱 살짜리 딸아이가….
지금 내 앞에서 사랑을 운운하고 있다.
―<프롤로그> 중에서

어미라는 허울을 쓰고 앉아 딸아이와 입씨름을 하고 있는 내 자신이 한없이 초라하게 느껴진다.
한심스럽다는 생각까지 든다.
그 ‘어미’라는 이름을 분분히 벗어던지고 싶다.
―<프롤로그> 중에서

대통령님께
안녕하세요, 대통령님!
……
바쁘신 대통령님께 이렇게 편지를 쓰게 되어 대단히 송구스럽습니다. 제 편지가 아니더라도 수많은 편지들을 보시고, 답장을 하셔야 될 텐데….
……
존경하는 대통령님!
저희 같은 아이들이 부모님의 사랑을 받으며, 이 세상의 푸른 새싹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195~197쪽

어미와 아비는 우리 은숙이를 위해
늘 무엇을 해줄 것인가를 고민할 것이다.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바른 가치관 속에 정해진 결정이라면
어미와 아비는 채근하지도 재촉하지도 않을 것이다.

어미와 아비는 지금 너의 잠든 모습을 보고 있다.
배안의 짓을 하느라 한 번씩 눈을 치켜뜨고는 마치 우리를 향해 웃듯 입가를 씰룩거리고 있는 아가야.
1958년 1월 18일
―243쪽

그래 어쩌면 나를 버리고 떠난 내 엄마나 지금 네 앞에 앉아 있는 나나, 네 태중에 있는 아이나, 우리는 서로를 끔찍하게 사랑하는지도 모르지. 서로에게 상처를 내면서 흠집을 내기도 하지만, 우리는 하나의 탯줄로 연결되어 있었지. 우리 몸의 중심부 배꼽이 한때는 붙어 있었던 탓에 지금도 갖다 대기만 하면 붙을 것 같은. 그래서 부실하지만 서로를 바라다보고 싶어 하는지도 모르지. 그러나 어쩌랴. 내 사랑을 위해, 너를 떠나기에는 내가 그렇게 영악스럽지도 영리하지도 못한 것을.
―<에필로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