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논쟁에서 벌어지는 심각한 억압과 왜곡을 드러내다


이 책은 고조선과 관련된 저자의 세 번째 연작이다. 앞의 두 저작(≪엉터리 사학자 가짜고대사≫, ≪한국 고대사와 그 역적들≫)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해방 이후, 핵심적으로는 198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는 고조선 논쟁사를 대중적으로 총괄한 것이다. 통상 고조선 관련 담론은 주류 고대사학계와 국수주의적 재야사학계의 대립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그렇기는커녕 고조선 논쟁은 철저히 학문 내적인 문제이며 본질적으로 주류 고대사학계의 학술논문과 윤내현을 포함한 학자들의 학술저작 사이에 발생한 논쟁이다. 나머지는 이 논쟁에서 파생된 비본질적 사안으로 왜곡과 선동으로 과잉 포장된 것이다. 이 책은 그 포장을 들춰내고 본래적이며 학술적인 고조선 논쟁을 총괄하였다.

한편 이 논쟁에 연루된 정치 사회적인 요인들을 해부하였다. 더불어 진보사학계 등 다른 학계와의 놀라운 연관성도 추적하였다. 예를 들어 이 책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화교과서 프로젝트에 총대를 맨 주류 고대사학계를 검토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또 새로 출발한 문재인 정부에서 회자되었던 가야사 및 고대사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는 당시 정치상황은 물론 여기에 맞물린 진보사학계 재야사학계, 나아가 국회와 외교문제까지 들추어 보게 한다.
이상은 고조선 논쟁이 단순한 학술 논쟁이 아니라 한국 사회 민주주의의 발전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고조선 논쟁이 고대사학계를 넘어선 여타 학계는 물론 사회운동이나 시민담론, 그리고 입법, 행정부, 심지어 중국 일본 미국을 포함하는 실질적인 외교문제에까지 스며들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의 최종적인 문제의식은 고조선 논쟁에서 벌어지는 심각한 억압과 왜곡을 드러내고 이 분야에서 공정과 민주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허구적인 고조선 논의에서 벗어나
학문적이고 사실적인 고조선을 논하다.


기존의 조야하고 허구적인 고조선 논의를 지양하고 철저히 학문적이고 사실적인 전제하에 사안을 다룬다. 동시에 난해한 전문적 논의를 쉽고 간결한 대중적 언어로 서술한다. 대중 지향성은 이 책의 최대 목표 중 하나이다.

19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윤내현의 대고조선론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벌어진 고조선 논쟁을 총괄적으로 약술한다. 목차에서 드러나듯 여기엔 관련 학자와 인물들 그리고 핵심적인 관련 논문들이 실명과 함께 소개 분석된다.

소고조선론을 주창하는 주류 고대사학계는 그동안 학계와 고조선 이론을 장악해왔다. 이들은 1980년대 초 윤내현의 등장 이후 강력한 도전을 받았는데 학문적으로는 윤내현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이것은 그들의 이론적 대응에서 명확히 드러나는바 이를 증명하는 그들의 논문이 심층적으로 분석된다. 한편 빈약한 학문적 대응과 달리 주류 고대사학계는 윤내현의 도전을 부당하게 왜곡하고 억압하였는데 그 내용을 상술한다.

이와 관련된 진보사학계와 재야사학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진보사학계는 오래 전부터 주류 고대사학계를 지원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은 부당하고 비학문적인 것이었다. 반대로 재야사학계는 주류 고대사학계를 비판하였으나 그 자신이 환단고기 등을 바탕으로 한 비학문적 비사회적 왜곡을 선도하였다. 이 양자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비판한다.

2010년 이후 동북아 역사재단을 중심으로 벌어진 주류 고대사학계의 행각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2017년 동북아 역사지도 폐기 사건 전후 이들의 행태를 살펴보고 그 내막을 진단한다.

마지막으로 주류 고대사학계에 맞서는 복기대 교수와 평양연구팀의 활동을 검토한다.


고조선 논쟁의 정상화는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달려 있다


고조선 논쟁은 소수 관심자들의 가십이 아니다. 이는 100년 전 신채호 이후 엄밀한 학문적 연구에 입각한 과학이다. 이것은 그러한 과학으로 회복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종교나 국수주의적 이데올로기 따위가 아닌 것이다. 그러나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과학으로서 고조선 논쟁을 은폐하는 장애들이 제거되어야 한다. 그 장애는 주류 고대사학계에 의한 비학문적 음모와 억압, 재야사학계의 허구적 국수주의적 선동, 진보사학계의 이기적이고 부정직한 거짓과 오만이다. 이 회복을 위한 여러 방안이 모색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의 발전만이 이 회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고조선 논쟁이 정상적인 궤도에 오를 수 있는가는 결국 총체적 민주주의의 발전에 달려 있다.